매매유형 조건 종류 구체적 조건 사용 수치/기준 정리
공통 | 추세 판단 | 정배열: 20EMA > 60EMA > 120EMA 역배열: 120EMA > 60EMA > 20EMA |
EMA 기준 |
배열 확인봉 | 3개 이상 이평선이 가지런히 우상향/하향 배치 | 20, 60, 120EMA | |
돌파매매 | 진입 조건 | 캔들 몸통이 추세선과 이평선(20EMA) 동시 돌파 or 캔들이 이평선 교차 지점에서 골든크로스 형성 |
20EMA + 추세선 |
손절 조건 | 직전 지지선 or 하위 이평선(60EMA, 120EMA) 이탈 시 | 예: 120EMA 종가 이탈 | |
익절 조건 | 20EMA 종가 닿는 순간 일부 익절 → 추세 유지되면 나머지 홀딩 |
부분 익절 후 추세 지속 여부 | |
눌림매매 | 진입 조건 | 이평선( 20EMA 등) + 지지선 or 이전 저점 중첩 지점에서 반등캔들 지지 확인 or 시간봉 전환 후 이평선 지지 확인 |
주로 4H/1H 60EMA, 120EMA |
손절 조건 | 진입 기준선(이평선 또는 지지선) 종가 이탈 | Tight: 바로 아래 지지선 Wide: 추세 종료선 |
|
익절 조건 | 20EMA or 주요 저항선에 닿을 때 | 상황에 따라 분할 익절 | |
보조전략 | 고수익 기회 | 이평선 밀집(수렴) → 돌파 시 레버리지 고배율 진입 가능 |
40~50x 예시 |
캔들 기준 골크 | 캔들 몸통이 20EMA 돌파 시, 1일 이평선 관점에서 골든크로스로 간주 가능 |
EMA 길이 = 1 설정 | |
시간봉 활용 | 4시간봉에서 눌림 확인 어려울 경우, 1시간봉에서 이평선 지지 확인 |
다중 타임프레임 체크 |
pine script
//@version=5
indicator("이평선 신호", overlay=true)
ema20 = ta.ema(close, 20)
ema60 = ta.ema(close, 60)
ema120 = ta.ema(close, 120)
isBullAlign = ema20 > ema60 and ema60 > ema120
isBearAlign = ema20 < ema60 and ema60 < ema120
bodyTop = math.max(close, open)
bodyBottom = math.min(close, open)
longBreak = bodyBottom > ema20 and isBullAlign
shortBreak = bodyTop < ema20 and isBearAlign
lookback = 5
nearEmaSupport = false
nearEmaResist = false
for i = 1 to lookback
nearEmaSupport := nearEmaSupport or (low[i] < ema20[i] and close[i] > ema20[i])
nearEmaResist := nearEmaResist or (high[i] > ema20[i] and close[i] < ema20[i])
longPullback = nearEmaSupport and isBullAlign and close > ema20
shortPullback = nearEmaResist and isBearAlign and close < ema20
longCondition = longBreak or longPullback
shortCondition = shortBreak or shortPullback
bgcolor(longCondition ? color.new(color.green, 85) : na)
bgcolor(shortCondition ? color.new(color.red, 85) : na)
plot(ema20, color=color.yellow, title="EMA 20")
plot(ema60, color=color.orange, title="EMA 60")
plot(ema120, color=color.fuchsia, title="EMA 120")
'주식 > 퀀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주동안 바이낸스 매매 결산 (0) | 2025.07.18 |
---|---|
금 숏 / 애플 롱? (0) | 2025.06.30 |
미결제 포지션 기반 롱/숏 포지션 진입 조건 분석 (0) | 2025.06.27 |
유가 상승과 미국 증시 전망 (4) | 2025.06.15 |
한국 부동산 붕괴 시나리오 (0) | 2025.05.08 |